SNS에 공연 입장권 판매 글…돈 이체하면 잠적 <br />텐트·오토바이 등 모두 같은 이름 판매자 사기 <br />신분증과 사업자등록증 등 보내 피해자 안심시켜 <br />"네이버 안전거래 하자" 기존 범죄 수법에서 변화 <br />지난 주말 ’판매자 이수현’ 사기 피해 70명 이상<br /><br /> <br />조직적 중고거래 사기 범죄가 또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수법이 더 치밀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피해는 근로자의 날까지 이어지는 지난 연휴에 집중됐는데, YTN이 확인한 피해자만 수십 명입니다. <br /> <br />홍성욱 기자가 단독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달 28일 트위터에 올라온 공연 입장권 판매 글. <br /> <br />사기 판매가 아니라는 것을 확인해 달라고 하자, 쪽지에 실시간을 적어 인증합니다. <br /> <br />믿고 돈을 입금하자 잠적합니다. <br /> <br />[사기 피해자: 인증이 실시간으로 바로 이뤄져서, 그거를 그냥 바로 믿어버렸던 것 같아요.] <br /> <br />네이버 카페와 당근마켓, 번개장터 등 중고거래 플랫폼에 올라온 다른 판매 글도 마찬가지입니다. <br /> <br />전자 드럼부터 텐트, 오토바이, 스마트워치까지 모두 사기 판매 글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피해자들이 사기꾼을 믿을 수밖에 없었던 이유. <br /> <br />실시간 인증에 이어 계좌명의자와 같은 이름의 신분증과 사업자등록증부터, 운송장이 찍힌 택배 상자까지 찍어 보내 피해자들을 안심시켰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사기 피해자 : 심지어 사업자 등록증도 보내줬거든요. 그래서 저는 한 번 더 속을 수밖에 없었어요. 알고 보니까 대표자 이름만 바꿔서 붙여넣기를 했던 거더라고요.] <br /> <br />안전거래라며 결재링크를 보내는 기존 범죄 수법에서 다시 진화한 겁니다. <br /> <br />지금도 계속 늘고 있는 피해자는 취재팀이 확인한 것만 70여 명, 모두 판매자 이름이 이수현이었고, 계좌주인도 같은 이름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수십 건 사기는 근로자의 날까지는 이어지는 지난 연휴에 이뤄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중고거래사기 역시 조직적 범죄일 가능성이 큰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 사기범죄 조직의 목소리를 공개합니다. <br /> <br />[사기 범죄 조직원 : 130만 원 입금해주시고 방금 285만 원 있다아닙니까? (네, 맞습니다) 이거 내가 바로 즉시 해드릴 거고. 이거 등록 처리만, 일 처리만 해놓고, 285만 원 바로 보내드리고요.] <br /> <br />피해자들이 경찰에 신고하고 있지만, 지난해 수백 명 피해자가 발생한 중고거래 사기 사건도, 꼬리조차 잡지 못하고 수사가 종결되는 상황. <br /> <br />조직적 중고거래 사기 범죄를 막을 대... (중략)<br /><br />YTN 홍성욱 (hsw0504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30503172518874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